- 2016
- 교수진 - 김성환, 김창민, 백승민, 아브라모프 파벨, 이강호, 이정규, 이혜진, 이홍인, 이효선, 정맹준, 정성화, 정종화, 조창우, 최상일, 최철호, 황길태
- 2011.10
- 경북대학교 화학과 개설60주년 기념행사 개최
- 2011.03
- 청정나노소재연구소 설립
- 2010.03
- 화학관 구관 리모델링 준공
- 2009
- 교수진 - 곽영우, 김성환, 김창민, 이강호, 이상학, 이혜진, 이홍인, 이효선, 정성화, 정종화, 조창우, 최철호, 황길태
- 2004
- 화학과 신관 증축
- 1990
- 교수진 - 정종재, 박유철, 박용태, 이흥락, 배준웅, 이재근, 지종기, 박긍식, 곽영우, 정종화, 이상학, 이강호, 김창민, 김동국
- 1986.09
- 6th IBRD 자금으로 Flash Photolysis, Electrochemistry System, Gas Chromatograph, UV Spectrophotometer 등 68종, 254점, 24만3천달러 상당의 화학 실험실습 기자재 도입
물리유기화학 국제 학술 세미나 개최(개교 40주년 기념행사)
- 1986.05.01
- 화학관 준공
- 1983.03.01
- 졸업정원 60명으로 감축
- 1981.03.01
- 문리과대학에서 자연과학대학 화학과로 분리 (졸업정원 80명으로 증원)
- 1980
- 교수진 - 황정의(91.작고), 오상오(퇴임), 정종재, 박유철, 박용태, 이흥락, 곽영우, 배준웅, 이재근, 문병조(87.경북대 생화학과 로 전출), 이천우(93.아주공대로 전출)
- 1979.08
- 물리화학연구소 설립
- 1976.06
- 2nd IDA 자금으로 5년간에 걸쳐 AA Spectrophotometer, IR Spectro-photometer, Thermal Analyzer, Polarograph 등 68종 254점, 24만 3천 달러 상당의 화학 실험실습 기자재 도입
- 1970
- 교수진 - 박두원(78.작고), 황정의, 오상오, 정종재, 박유철, 박용태, 이흥락, 곽영우
- 1969.12.01
- 경북대학교 화학과 기기실 발족
- 1969.02
- PAC자금으로 5년간에 걸쳐 X-ray Analytical Apparatus, Liquid Scintillation Counter, Micro Organic Analyzer 등 70,000$ 상당의 화학 실험실습 기자재 도입
- 1968.03.01
- 입학정원이 20명에서 30명으로 중원
- 1967.03.02
- 교직과정을 개설하여 중등교원 2급 정교사 자격증 부여
- 1964.09.21
- 신과학관(현재의 제1과학관) 준공
- 1961.12.01
- 대학 정비령에 의거 공업화학, 섬유화학전공 학생을 부산공대에 편입 시키고, 화학과 단일로 개편함(정원 20명)
- 1961.04.01
- 응용화학 전공을 공업화학 전공으로 개칭함 (정원10명)
- 1960.04.01
- 화학과를 화학, 섬유화학, 응용화학 등 세전공으로 분리하여 신입생 모집 (각 전공 20명)
- 1960
- 교수진 - 사공열(66.한양대로 전출), 박두원, 안영필, 이대수(68.성균 관대로 전출),황정의, 오상오, 홍순영(71.한양대로 전출), 이종갑, 김재항(72.재캐나다), 정종재
- 1958.05
- 화학계열세미나 제도 도입
- 1957.04.01
- 대학 정비령에 의하여 섬유화학 및 응용화학 전공이 화학과로 통합
- 1956.10.01
- 구과학관 준공 및 연구실 이전
- 1953
- 대학원 화학과 설치,UNKRA 원조에 의한 실험기기 도입
- 1951.10.06
- 화학과 편성 인가
- 1950
- 교수진 - 사공열, 국순웅(고려대 전출), 김영국(이화여대로 전출), 김태린(고려대로 전출), 박두원, 하이영(62.대명광업사 로이전), 김제현(60.도미), 이대수, 정원규(62.영남대로 전출), 안영필(66.건국대로 전출), 김병욱(부산대로 전출)